2021년 종합소득세 신고기간이 다가왔습니다. 자영업자나 개인사업자는 사업소득에 대한 종합소득세를 매년 5월에 신고해야 합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종합소득세 신고기간부터 신고방법까지 모두 알아보겠습니다. 만약 종소세 신고를 하지 않을 경우 가산세 및 세액공제 및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없으니 오늘 포스팅을 보고 아직 종합소득세 신고하지 않으셨다면 하시기 바랍니다. 끝까지 읽어주세요!

목차
종합소득세란?

개인 사업자나 자영업자, 프리랜서등 개인에게 귀속되는 각종 소득에 대한 세금을 부과하는 것을 종합소득세라고 합니다. 종합소득세에는 6가지 소득이 포함되는데요. 아래 6가지 소득에 대해서만 과세단위로 판단해 세금을 부과한답니다.
종합소득세 소득금액 종류
- 근로소득
- 사업소득
- 이자소득
- 배당소득
- 연금소득
- 기타소득



종합소득세는 이전년도에 대한 소득에 대해 신고 및 납부를 하게되는데요. 국세청에서 정한 업종 및 직종별 표준소득률을 근거로 신고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답니다. 종합소득세를 적용하게 되면 누진세율을 적용가능하며 최저생활비에 대해 면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 소득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힘들며 세원조사가 들어가면 영업기밀 혹은 사생활 침해가 될 가능성이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종합소득세 신고대상
직장인의 경우 매달 받는 월급에서 정해진 세율이 적용되 세금을 자동으로 납부해 연말정산을 통해 세금 환급을 받습니다. 하지만 개인사업자나 자영업자, 그리고 프리랜서분들은 매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를 통해 세금을 신고납부해야 합니다.
소득에 대한 세금을 납부하지않고 있다면 종합소득세 신고대상이 된다고 생각하시면 된답니다.
2021년 종합소득세 신고대상
- 개인사업자 및 자영업자로 등록된 자
- 연 2,000만원 이상의 금융소득이 있는 자
- 연 1,200만원 이상의 연금소득이 있는 자
- 연 300만원 이상의 가타 소득금액이 있는 자
- 연말정산을 하지 않은 소득활동이 있는 자
개인 사업이나 프리랜서 소득활동으로 번 소득 금액 이외에도 배당금이나 임대료, 이자, 연금소득등이 종합소득세 신고대상에 포함됩니다. 하지만 아래의 경우에는 종합소득세 신고대상에서 제외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종합소득세 신고대상 제외자
- 근로소득만 있으며 연말정산을 한 자
- 퇴직소득과 열말정산대상 사업소득만 있는 자
- 비과세 및 분리과세 소득만 있는 자
- 연 300만원 이하 기타소득이 있는 자 중 분리과세를 원하는 경우
- 전년도 수입이 7,500만원 미만인 보험모집인, 방문판매원 및 배달판매원인 자
종합소득세 신고기간 및 과세표준
종합소득세는 전년도인 2020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소득을 다음해인 5월 중으로 납부를 하게됩니다. 성실신고 확인대상의 경우 납부기한은 6월 30일까지 연장되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종합소득세 신고기간: 2021년 5월 1일~ 5월 31일까지



2021년 종합소득세율
| 과세표준 | 세율 | 누진공제 |
| 1,200만원 | 6% | - |
| 1,200만원 초과~ 4,600만원 이하 | 15% | 108만원 |
| 4,600만원 초과~ 8,800만원 이하 | 24% | 522만원 |
| 8,800만원 초과~ 1억 5,000만원 이하 | 35% | 1,490만원 |
| 1억 5,000만원 초과~ 3억원 이하 | 38% | 1,940만원 |
| 3억원 초과~ 5억원 이하 | 40% | 2,540만원 |
| 5억원 초과~ 10억원 이하 | 42% | 3,540만원 |
| 10억원 초과 | 45% | 6,540만원 |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4가지
종합소득세 신고방법은 4가지로 나눌수 있는데요. 예쩐에는 세무대리인을 통한 신고를 하는분이 많았지만 요즘에는 비용도 비용이거니와 워낙 정보가 많아 온라인으로 직접 신청하는 분들이 정말 많답니다.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 (홈택스)
- 홈택스 로그인 → 신고/납부 → 세금신고 → 종합소득세 → 신고서 선택 및 정기신고 작성 → 신고서 작성 및 제출 → 지방소득세 신고하기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모바일 홈택스)
- 모바일 홈택스 설치 및 로그인 → 신고/납부 → 종합소득세 → 신고서 선택 및 정기신고 작성 → 신고서 작성 및 제출 → 지방소득세 신고하기
온라인이나 모바일앱으로 종소세 신고할 경우 공동인증서가 필요하니 참고하시고, 공동인증서 발급방법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공동인증서 발급 방법 2가지
공동인증서 발급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얼마 전 공인인증서의 단점을 보완한 공동인증서 사용이 시작되고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들이 많이 나왔습니다. 오늘은 이 중에서 가장 쉽
myinforest.com
기타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2가지
- 세무대리인을 통한 신고
- 서면신고
소득분야가 다양하고 복잡해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 세무대리인을 고용해 신고를 하는방법을 권장드립니다. 그리고 서면신고의 경우 국세청 누리집에서 종합소득세 신고서 서식을 다운받거나 세무서에서 신고서식 작성 후 접수하면 됩니다.
종합소득세 신고기간 맺음말



오늘은 종합스득세 신고기간 및 신고대상등 관련정보에 대해 알려드렸는데요. 신고기한내에 꼭 납부하셔서 가산세를 내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소득이 많을수록 세금을 많이 내는게 맞다지만 가끔은 세금을 너무 많이 떼가는게 아닌가란 생각이 들기도 할텐데요. 그럴땐 세무사 고용으로 합법적으로 절세가 가능한 방법을 찾아보시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 생각이 드네요.
★블로그를 방문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올바른 정보제공과 방문자님들에게 도움이 되는 포스팅 작성을 위해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해당 블로그는 게제된 광고수익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알려드리며★
★오늘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자그마한 센스 부탁드려봅니다. 감사합니다★
♣ 추천글 ♣
코로나 백신 접종 예약 방법 3가지 (연령별)
코로나 백신 접종 예약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기존 만성 호흡기 장애인 및 만 70세~ 74세까지였던 백신 예약이 어제인 5월 10일부터 만 65세부터 69세까지 코로나 백신 접종 예약이 시작되
myinforest.com
사업자등록증명원 인터넷발급 신청
사업자등록증면원 인터넷발급 신청하는 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요즘 정부에서 지원하는 재난지원금 중 소상공인들을 돕기위한 여러가지 지원책이 나와있는데요. 이러한 지원을 받기위해선
myinforest.com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주민등록초본 인터넷발급 (비회원 신청) (0) | 2021.05.13 |
|---|---|
| 농업경영체등록 확인서 발급방법 (0) | 2021.05.11 |
| 코로나 백신 접종 예약 방법 3가지 (연령별) (0) | 2021.05.11 |
| 청년저축계좌 조건 신청방법 2021 (0) | 2021.05.10 |
| 유니패스 통관조회 방법 (주의할 점) (0) | 2021.05.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