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국민청원 홈페이지
청와대 국민청원 홈페이지 사용해본 적이 있나요? 국민과 정부가 소통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많이 사용되는 청와대 국민청원홈페이지는 국정 현안에 관련해 국민들의 청원을 받고 해당 청원의 추천수가 30일동안 20만건이 넘으면 정부 및 청와대 각 부처 및 기관의 장, 대통령 수석, 비서관, 보좌관 등이 답을 주는 시스템입니다.
청와대 국민청원홈페이지 바로가기
청와대 국민청원홈페이지에는 정말 많은 수많은 청원들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정부와 소통할 길이 없었지만 요즘엔 남녀노소할 것없이 정부에 대한 불만을 털어놓는 장으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청와대 국민청원홈페이지는 문재인 대통령 출범후에 생긴 신설 게시판으로 문재인 대통령이 추구하는 국민과의 소통에 대한 의지를 나타내는 부분이기도 한데요. 사실 우리나라에서 처음 시행된 제도가 아니라 미국 오바마 대통령이 시행한 국민과 소통하는 위더피플을 참고로 만들어 진 것 같습니다.
이런 정부의 노력에도 사실 국민들의 불만은 점점 늘어만가는 것 같은데요 사실 전국민을 만족시키기란 불가능하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예전에는 이런 소통의 장이 없었다는 걸 생각하면 점점 발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뭐 우리가 바라는 건 살기좋은 나라, 행복한 나라를 꿈꾸는 거 아니겠습니까?
청와대 국민청원홈페이지 사용법
청와대 국민청원홈페이지를 구글이나 다음과 같은 검색 포털에서 검색해주세요. 홈페이지 이동 후 위 사진에 보이는 것과 같이 지금 청원하기를 선택하고 청원을 진행하면 되는데요.
청와대 국민청원을 신청하기 위해선 위 사진에 보이는 것과 같이 쇼셜네트워크 계정을 통해 로그인이 가능하며 원하는 계정으로 로그인을 한 뒤 청원신청을 진행하면 됩니다.
한번 작성되거나 동의를 한 청원에 대해서는 삭제나 철회가 불가능하다는 점 꼭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홈페이지에 공개된 청원은 국민 누구나 자유롭게 열람할 수 있습니다.
새 청원을 시작하기전에 홈페이지에선 본인이 하려는 국민청원가 유사한 청원이 있는지 먼저 찾아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만약 유사한 청원을 찾았고 현재 진행중이라면 굳이 청원글을 하나 더 발행하는 것보다 기존에 있는 청원에 동의를 하는게 답변을 받을수 있는 가능성이 더 높아질 것입니다. 반드시 현재 진행중인 유사한 청원이 있는지에대해 찾아보고 청원글을 작성하길 바랍니다.
만약 유사한 청원글이 없다면 지금 청원하기를 눌러 청원을 시작하면 됩니다.
청와대 국민청원홈페이지 유의할점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을 사용할 때 유의점인데요 간단히 요약을 하자면,
- 타인의 권리침해 및 명예 훼손 청원글 제한
- 자극적이고 혐오스러운 내용 및 비속어, 폭력적 내용, 그리고 허위사실 글은 삭제나 숨김 처리
- 청원글 게시 후 30일간 100명의 사전동의가 있어야만 국민청원 게시판 공개
- 한번 작성 된 청원은 수정 및 삭제 불가능
새 청원글 작성 할 시에는 관련분야를 올바르게 선택한 후 작성을 하면 되고요 관련 내용을 설명할 만한 웹사이트나 영상이 있으면 첨부가 가능합니다.
청와대 국민청원홈페이지 마무리
국민청원홈페이지를 방문해보면 요즘 남녀노소 할 것없이 많은 사람들이 청원글을 올리는 걸 확인할 수 있는데요. 정말 사소한 것까지 정부에 대답을 바라는 청원글도 가끔 보입니다. 너무 개인적인 생각으로 청원글을 쓰기보다는 정말 내 청원글이 국가나 사회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 올 수 있을지에 대해 한번 생각해보고 청원글을 올리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생각없이 청원글을 신청한다면 20만명이라는 국민의 동의를 얻기도 힘들뿐더러 시간만 낭비하는 격이 될 것입니다. 다들 올바른 청와대 국민청원홈페이지 사용법을 통해 더 나은 대한민국을 만들어 갔으면 합니다. 오늘 포스팅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 또 다른글로 찾아오겠습니다.
'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프라인 초음파 검사 (0) | 2021.03.27 |
---|---|
세라믹 코팅 적용하는 방법 (0) | 2021.03.27 |
매터리얼(재료) 강도 재는 방법 5가지 (0) | 2021.03.22 |
압력용기 및 장비의 내부 부식 (Internal Corrosion) (0) | 2021.03.22 |
부식방지를 최소하 하기위한 방법 (0) | 2021.03.21 |
댓글